전체보기
[Level1] 2016년
import datetime def solution(a, b): t = ['MON' ,'TUE' ,'WED' , 'THU', 'FRI', 'SAT', 'SUN'] return t[datetime.date(2016, a, b).weekday()]
[Python] 반복문
for 변수 in 리스트(튜플, 문자열): 반복할 내용 ... Python은 들여쓰기가 중요하다. for문 : 하고 다음줄에 4번 띄어써야한다. tab 키를 누르면 4번 띄어써지니 tab키 누르자. for 변수 in 리스트는 리스트의 첫번째 요소부터 변수에 대입된다. ex) list = ['가', '나', '다', '라'] for i in list: print(i) 가 나 다 라 로 출력이 된다. list의 내용들이 i 변수에 대입되어 출력되었다. list = [('가','나'), ('다','라'), ('마','바')] for (a, b) in list: print(a + b) list의 요소가 튜플이라 자동으로 a, b에 대입이 되었다. 가나 다라 마바 로 출력이 된다. 저기서 list[0]는 ('가'..
[Python] float.fromhex
num1 = float.fromhex(input('첫 번째 16진수 실수 입력 >>')) num2 = float.fromhex(input('두 번째 16진수 실수 입력 >>')) print('실수1:',num1, '실수2:', num2) print('합: ', num1+num2) print('차: ', num1-num2) print('곱하기: ', num1*num2) print('나누기: ', num1/num2) 메소드임 float.fromhex #16진수 형태의 문자열을 실수로 변환해준다. #bytes.fromhe는 16진수를 바이트로 변환해준다.
[Python] 리스트 역순으로 나타내기
num1 = input('네 자릿수 정수 입력 >>') print(num1[::-1]) 5432 입력하면 num1은 [5,4,3,2]로 리스트가 된다.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, num1[0] 은 5, num1[1] = 4, num1[2] =3..... 입력한 리스트를 역순으로 나타내고 싶다... 그럼 [::-1] 을 이용한다. 2345 가 출력됨 ##### num1[::-1] num1[:-1] num1[-1] [::-1] 는 순서를 거꾸로 뒤집음 >> 2345 [:-1] 는 0부터 마지막 빼고 출력 >> 543 [-1] 리스트의 마지막 가져옴 >> 2
![[MySQL] 연속일수 구하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JiS9z%2Fbtq1g9WXuk5%2FAAAAAAAAAAAAAAAAAAAAAM_vkFwOKAvCgM2gXFPSLd_X1GpoztpH9jpkXnzRdg9y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39739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GA%252FXWtTwub3DQe5BMx7q56uA1t8%253D)
[MySQL] 연속일수 구하기
SELECT goalId, date_format(createAt, '%Y.%m.%d') as createAt, count(row_num) as countDay FROM ( SELECT goalId, createAt, goalBookId, @var:=@var+1 AS row_num, date_format(ADDDATE(createAt, -@var), '%Y-%m-%d') AS group_date FROM ( SELECT @var:=0, a.goalId, a.createAt, goalBookId FROM Challenge AS a RIGHT JOIN Goal AS b ON a.goalId = b.goalId WHERE a.goalId = ${goalId} GROUP BY a.goalId, DATE(a.cre..